첫번째 문제 풀이때 48점이었으나 두번째 문제풀이에선 무려 10점이나 감소된 38점을 맞았다. 이럴수가.
문제를 더 많이 풀면서 머릿속에 외워지도록 더 분발 해야겠다 ㅠㅠ
[네트워크관리사2급] 2020년 8월 23일 기출 문제 풀이 Feat. 첫번째 문제풀이, 48점
정기 2022-04 네트워크관리사 2급 시험이 2022년 11월 6일 일요일 오전 9시 20분으로 예정되었다. 네트워크관리사2급 필기시험 준비는 무작정 기출문제 풀어보기로 하고 있다. 오늘 풀어본 문제는 2020
supersooyeon.tistory.com
위 링크는 첫번째 문제 풀이...
그럼 오늘도 저번과 마찬가지로 틀린 문제들에 대해 암기할겸 오답노트를 적어보도록 한다.
1과목: TCP/IP
2. C Class의 네트워크 주소가 '192.168.10.0'이고, 서브넷 마스크가 '255.255.255.240'일 때, 최대 사용 가능한 호스트 수는? (단, 네트워크 주소와 브로드 캐스트 호스트는 제외한다.)
1) 10개, 2) 14개, 3) 26개, 4) 32개
<해설> IP 32비트는 [네트워크 부분 + 호스트부분]으로 되어있고, 호스트 부분의 비트 수가 사용가능한 IP 수를 나타낸다. IP의 네트워크 부분과 호스트 부분의 경계를 알려주는 것이 서브넷 마스크이다. 서브넷 마스크는 IP 에서 네트워크 부분의 비트 수만큼 1을 쓰고, 호스트부분의 비트수 만큼 0을 적는다. 이 문제를 푸는 정확한 방법은 서브넷 마스크를 2진수로 나타낼때 0비트의 수를 가지고 계산하면 된다. 255.255.255.240 = 11111111.11111111.11111111.1111.0000 이므로, 0비트는 4개이다. 192.168.10.0 네트워크주소에서 하위 4비트만 호스트비트로 호스트를 구분하는 IP주소를 생성하는데 사용된다. 그래서 2^4 = 16이고 16개를 모두 사용할 수 있는 것은 아니고 호스트 비트가 모두 0인 주소와 모두 1인 주소는 특수목적용 주소로 호스트에게 부여할 수 없다. 결과적으로 사용가능한 IP 주소의 갯수는 호스트 비트수에 대한 경우의 수에서 항상 2를 빼주어야 한다. [해설작성자: [성남테크노 이근수 T]] 즉, 정답은 2번 14개이다.
3. IPv6 헤더 형식에서 네트워크 내에서 데이터그램의 생존 기간과 관련되는 필드는?
1) Version, 2) Priority, 3) Next Header, 4) Hop Limit
<해설> IPv4에서의 TTL 필드와 같은 의미로, 패킷이 네트워크 상에서 목적지를 찾지 못하고 돌아다니는(좀비) 경우, 그런 패킷들로 네트워크 트레픽 부하가 심해지기 때문에 라우터(홉)을 거쳐갈 때마다 1씩 감소하도록 출발지에서 설정한 값이다. 어떤 라우터가 이 필드가 0인 패킷을 수신하면, 그 패킷은 drop(버림) 한다. [해설작성자: [성남테크노 이근수 T]] 즉, 정답은 4번 Hop Limit 이다.
7. TCP/IP에서 Unicast의 의미는?
1) 메시지가 한 호스트에서 다른 여러 호스트로 전송되는 패킷, 2) 메시지가 한 호스트에서 다른 한 호스트로 전송되는 패킷, 3) 메시지가 한 호스트에서 망상의 다른 모든 호스트로 전송되는 패킷, 4) 메시지가 한 호스트에서 망상의 특정 그룹 호스트들로 전송되는 패킷
<해설> 유니캐스트 전송이란 고유 주소로 식별된 하나의 네트워크 목적지에 1:1로 (one-to-one) 트래픽 또는 메시지를 전송하는 방식을 말한다. 송신 가능한 모든 목적지에 동일 데이터를 전송: 브로드 캐스트 = 메시지가 한 호스트에서 망상의 다른 모든 호스트로 전송되는 패킷, 정해진 여러곳의 목적지로 동일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식: 멀티캐스트 = 메시지가 한 호스트에서 망상의 특정 그룹 호스트들로 전송되는 패킷 [해설작성자: 한방에합격하실꺼임] 즉, 정답은 2번 메시지가 한 호스트에서 다른 한 호스트로 전송되는 패킷 이다.
8. IP 데이터그램 헤더구조의 Field Name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Destination IP Address, 2) Source IP Address, 3) Port Number, 4) TTL(Time to Live)
<해설> 포트번호는 4계층이다. [해설작성자: 내일이시험], 비전, 헤더길이, 서비스타입, 전체길이, 식별자, 플래그, 단편옵셋, 수명, 프로토콜, 검사합, 발신자주소, 목적지 주소 등이 데이터 그램의 구성요소이다. 1번의 Destination IP Address는 목적지 주소, 2번의 Source IP Address는 발신지 주소이며 4번의 TTL은 수명이다. 하지만, Port Number 즉 포트번호는 데이터 그램의 구성요소가 아니기 때문에 정답이다. [해설작성자: 오지라퍼] 즉, 정답은 3번 Port Number 이다.
9. OSI 7 계층의 통신 계층별 PDU(Protocol Data Unit)의 명칭으로 올바른 것은 무엇인가?
1) 7계층: 세그먼트, 2) 4계층: 패킷, 3) 3계층: 비트, 4) 2계층: 프레임
<해설> 1계층: 비트, 2계층: 프레임, 3계층: 패킷 or 데이터그램, 4계층: 세그먼트, 5~7계층: 데이터 [해설작성자: 우승] 즉, 정답은 4번 2계층: 프레임 이다.
10. 다음의 응용계층 프로토콜 중에 전송계층의 프로토콜 TCP, UDP를 모두 사용하는 프로토콜은 무엇인가?
1) FTP, 2) SMTP, 3) DNS, 4) SNMP
<해설> FTP는 ㅆ쳬(20,21), SMTP는 TCP(25), DNS는 TCP(53)/UDP(53). DNS는 보통 UDP를 사용한다. 하지만 TCP만을 사용하게 설정하거나 대용량의 데이터 전송을 할 경우에는 TCP를 사용한다. [해설작성자: ys21], SNMP는 UDP(161.162)를 사용한다. [해설작성자: 김선민] 즉, 정답은 3번 DNS이다.
11. DNS 서버가 호스트 이름을 IP Address로 변환하는 역할을 수행하도록 설정하는 것은?
1) 정방향 조회, 2) 역방향 조회, 3) 양방향 조회, 4) 영역 설정
<해설> www.google.com -> 8.8.8.8 (정방향 조회), 8.8.8.8 -> www.google.com (역방향 조회) [해설작성자: 우승] 즉, 정답은 1번 정방향 조회 이다.
13. 'B Class'를 6개의 네트워크로 구분하여 사용하고 싶을때, 가장 적절한 서브넷 마스크 값은?
1) 255.255.224.0, 2) 255.255.240.0, 3) 255.255.248.0, 4) 255.255.255.0
<해설> 6개의 네트워크로 구분 = 반으로 나누면 2개 네트워크, 1/4로 나누면 4개, 1/8로 나누면 8개 즉 8개의 네트워크로 구분할 것임. 만약 10개로 나눈다면 16개의 네트워크로 구분하면 됨, 18개로 나눈다면 32개로 구분하는 식. 0~255 [256개]를 똑같이 8개로 나누려면 32개씩 나누어 가지면 됨. 224~255까지 총 32개의 숫자가 있으므로 답: 255.255.224.0 [해설작성자: 파이팅] 즉, 정답은 1번 255.255.224.0 이다.
14. TCP와 IP의 기능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흐름 제어(Flow Control), 2) 단편화(Fragmentation), 3) 압축화(Compresstion), 4) 오류 제어(Error Control)
<해설> 흐름제어는 TCP, 단편화는 IP, 압축화는 표현계층, 오류제어는 TCP [해설작성자: 내일이시험], 추가로 압축화는 프레젠테이션 계층 [해설작성자: 또잉이] 즉, 정답은 3번 압축화(Comprsstion)가 옳지 않다.
15. UDP 헤더의 필드들에 대한 설명으로 올바른 것은?
1) Source Port: 출발지의 포트번호를 표시한다. 출발지가 클라이언트일 경우 일반적으로 1024 미만으로 설정된다. 2) Destination Port: 목적지의 포트번호를 표시한다. 목적지가 서버일 경우 일반적으로 1024 이상으로 설정된다. 3) Length: 헤더의 길이를 바이트 단위로 표시한다. 4) Checksum: 헤더와 데이터의 에러를 확인하기 위한 필드이다.
<해설> UDP의 헤더에서 Checksum Field를 통해 최소한의 오류만을 검출한다 [해설작성자: 지나가는 엘티티] 즉, 정답은 4번 Checksum: 헤더와 데이터의 에러를 확인하기 위한 필드이다.
16. 인터넷에서 전자우편(E-mail)을 보낼 떄 사용하는 프로토콜은?
1) Telnet, 2) FTP, 3) SMTP, 4) NNTP
<해설> SMTP: Simple Mail Transger Protocol 프로토콜 이름을 생각하면 쉬움. [해설작성자: 유사이과생 이과람] 즉, 정답은 3번 SMTP이다.
17. MAC Address를 IP Address로 변환시켜주는 Protocol은?
1) RARP, 2) ARP, 3) TCP/IP, 4) DHCP
<해설> IP -> MAC = ARP, MAC -> IP = RARP 이다. [해설작성자: 윤고티] 즉, 정답은 1번 RARP 이다.
2과목: 네트워크 일반
20. OSI 7 Layer 중 논리링크제어(LLC) 및 매체 액세스 제어(MAC)를 사용하는 계층은?
1) 물리 계층, 2) 데이터링크 계층, 3) 네트워크 계층, 4) 응용 계층
<해설> 데이터 링크 계층은 LLC, MAC 두 가지 서브층으로 나뉜다. LLC(Logical Link Control): 상위 계층과 통신하는 소프트웨. 오류 검출 및 제어 기능. MAC(Media Access Control): 하위 계층과 통신하는 하드웨어. 충돌 현상 제어 [해설작성자: 김선민] 즉, 정답은 2번 데이터링크 계층이다.
23. 다음 중 VPN 터널링의 종류로 옳지 않은 것은?
1) L2F, 2) L2TP, 3) NAT, 4) PPTP
<해설> NAT: 사설 IP 주소를 공인 IP 주소로 바꿔주는 프로토콜 이므로 VPN 터널링의 종류와 상관없음. [해설작성자: ㅁ] 즉, 정답은 3번 NAT가 옳지 않다.
27. 다음에 (A)에 들어갈 알맞은 용어는 무엇인가?
( A )는 엑세스 포인트 없이도 무선 LAN 카드를 장착한 달말기들 간에 전송 링크의 구성이 가능하다. ( A )는 중계 기능을 담당하는 노드가 없으므로 통신 가능한 거리가 지극히 제한적이다. ( A )에 참여할 모든 단말의 SSID를 동일하게 설정하여야 한다. ( A )에서는 하나의 무선 통신 채널만을 사용하므로, 모든 단말기들이 같은 통신 채널을 사용하도록 지정해 주어야 한다.
1) Ad-hoc network, 2) Wireless mesh network, 3) Virtual private network, 4) Wireless sensor network
<해설> 중계 기능을 담당하는 노드라는 하는 말에서 중계 기능을 담당하는 노드는 엑세스 포인트를 의미한다. 엑세스 포인트가 있을 때는 두 단말이 서로 멀리 떨어져 있어도, 이 두 단말이 엑세스 포인트에 연결이 되어 있으면 엑세스 포인트를 통해서 통신이 가능하다. 하지만, 엑세스 포인트가 없을 때에는 두 단말이 서로 간에 통신 범위 안에 들어가 있어야지 통신이 가능하므로 통신 가능한 거리가 지극히 제한적이다라고 말할 수 있다. 즉, 여기서 의미하는 말은 두 단말간에 직접 통신은 엑세스 포인트가 없으면 매우 제한된 거리(즉, 직접 통신 범위)만 가능하다는 것이다. 엑세스 포인트, 무선 LAN 카드, 동일 SSID를 언급하고 있으므로, "(A)는 중계 기능을 담당하는 노드가 없으므로 통신 가능한 거리가 지극히 제한적이다"라는 문장의 (A)에는 첫번째 의미와 관련하여 Ad-hoc network가 답이라고 할 수 있다. [해설작성자: 아무개] 즉, 정답은 1번 Ad-hoc network 이다.
3과목: NOS
28. Linux 명령어 중 현재 디렉터리에서 바로 상위 디렉터리로 이동하는 명령어는?
1) cd.. 2) cd .. 3) cd . 4) cd ~
<해설> cd..는 소심해보이고, cd .. 은 현 디렉터리의 바로 상위 디렉터리(부모)로 이동(상대 경로로 이동), cd . 은 현재 디렉터리로 이동, cd ~ 는 자신의 홈 디렉터리로 이동 [해설작성자: 판교겜돌이] 즉, 정답은 2번 cd .. 이다.
31. Linux 시스템에 좀비 프로세스가 많이 생겨 시스템을 재부팅하려고 한다. 현재 Linux 시스템에 접속해 있는 사용자에게 메시지를 전달하고, 5분 후에 시스템을 재부팅 시키는 명령어는?
1) sutdown -r now 'Warning! After 5 minutes will be system shutdown!!' 2) shutdown now 'Warning! After 5 minutes will be system shutdown!!' 3) shutdown -r +5 'Warning! After 5 minutes will be system shutdown!!' 4) shuttdown +5 'Warning! After 5 minutes will be system shutdown!!'
<해설> 1번 지금 당장 시스템을 재부팅함, 2번 지금 당장 시스템을 완전히 종료함, 3번 5분 뒤에 시스템을 재부팅함, 4번 5분뒤에 시스템을 완전히 종료함 [해설작성자: 내이름은 육영 내일 시험이지OvO] 즉, 정답은 3번 shutdown -r +5 'Warning! After 5 minutes will be system shutdown!!' 이다.
32. Windows Server 2016의 DNS 서버에서 정방향 조회 영역 설정에서 SOA 레코드의 각 필드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일련번호: 해당 영역 파일의 개정 번호다. 2) 주 서버: 해당 영역이 초기에 설정되는 서버다. 3) 책임자: 해당 영역을 관리하는 사람의 전자 메일 주소다. webmaster@icqa.or.kr 형식으로 기입한다. 4) 새로고침 간격: 보조 서버에게 주 서버의 변경을 검사하기 전에 대기하는 시간이다.
<해설> 책임자는 e-mail 주소이다. 단지 SOA레코드의 필드에서는 @ 형식으로 나타내지 않고 .을 사용해서 이메일을 표시한다. [해설작성자: Gatton] 즉, 정답은 3번 책임자: 해당 영역을 관리하는 사람의 전자 메일 주소다. Webmaster@icqa.or.kr 형식으로 기입한다가 옳지 않다.
33. Windows Server 2016 DHCP 서버의 주요 역할의 설명으로 맞는 것은?
1) 동적 콘텐츠의 HTTP 압축을 구성하는 인프라를 제공한다. 2) TCP/IP 네트워크에 대한 이름을 확인다. 3) IP 자원의 효율적인 관리 및 IP 자동 할당한다. 4) 사설 IP 주소를 공인 IP 주소로 변환해 준다.
<해설> DHCP 서버 장치의 수가 많거나 장치의 변경사항이 많은 경우 장치의 네트워크 설정이 자동으로 설정가능하므로 효율적으로 사용가능하고, IP를 자동으로 할당해주기 때문에 IP 충돌을 막을 수 있게 됨. [해설작성자: 맞나?아닌가?] 즉, 정답은 3번 IP 자원의 효율적인 관리 및 IP 자동 할당한다.
34. 아파치 웹서버의 서버 측 에러 메시지 내용으로 맞는 것은?
1) 502 (Service Unailable): 클라이언트 요청 내용에는 이상이 없지만, 서버측에서 클라이언트의 요청을 서비스할 준비가 되지 않은 경우. 2) 501 (Not Implemented): 클라이언트의 서비스 요청 내용 중에서 일부 명령을 수행할 수 없을 경우. 3) 503 (Bad Request): 게이트웨이의 경로를 잘못 지정해서 발생된 경우. 4) 500 (Internal Server Error): 서버에 보낸 요청 메시지 형식을 서버가 해석하지 못한 경우
<해설> 501은 서버가 요청한 기능을 지원 하는 경우 [해설작성자: 내일이시험], 500(Internal server error): 내부 서버 오류(잘못된 스크립트 실행시), 502(Not Implemented): 클라이언트에서 서버가 수행할 수 없는 행동을 요구함, 502(Bad gateway): 서버의 과부하 상태, 503(Service unavailable): 외부 서비스가 죽었거나 현재 멈춤 상태 [해설 작성자: Gatton] 즉, 정답은 2번 501 (Not Implemented): 클라이언트의 서비스 요청 내용중에서 일부 명령을 수행할 수 없을 경우이다.
36. 다음중 Linux의 명령어 해석기는?
1) Shell, 2) Kernel, 3) Utillity Program, 4) Hierarchical File System
<해설> 유닉스 계열의 운영체제는 보통 텍스트 모드의 터미널 화면에서 명령행에 명령어를 타이핑 하여 사용한다. 이 명령어를 해석하는 프로그램이 쉘(shell)이다. 즉 쉘은 명령어 해석기 또는 명령행 인터페이스를 의미한다. 쉘을 사용하는 것은 윈도우의 '명령 프롬프트'에서 명령을 실행하는 것과 유사하지만 리눅스의 쉘은 훨씬 강력한 기능을 제공한다. 쉘 명령은 GUI 도구로는 수행하기 어려운 다양한 고급 기능을 제공한다. 또한 쉘은 스크립트 언어이기도 하다. 쉘 명령어로 구성된 쉘 스크립트 프로그램을 작성하면 쉘이 스크립트 파일을 읽어 일련의 명령을 수행할 수 있다. [해설작성자: Gatton] 즉, 정답은 1번 Shell 이다.
37. Linux 시스템에서 데몬(Daemon)에 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1) 백그라운드(Background)로 실행된다. 2) 'ps afx' 명령어를 실행시켜보면 데몬 프로그램의 활동을 확인할 수 있다. 3) 시스템 서비스를 지원하는 프로세스이다. 4) 시스템 부팅때만 시작될 수 있다.
<해설> 시스템 부팅 이후에도 시작할 수 있다. [해설작성자: 맞나?아닌가?] 즉, 정답은 4번 시스템 부팅 때만 시작될 수 있다가 옳지 않다.
40. 서버 담당자 Park 사원은 도메인의 사용자가 도메인 내의 어떤 컴퓨터에서 접속하든지 자신이 사용하던 폴더가 그대로 보이도록 하는 정책을 구성하고자 한다. 이때 서버 담당자 Park 사원이 설정할 수 있는 올바른 정책은?
1) 그룹 정책 관리, 2) 폴더 리다이렉션(Folder Readirection), 3) NTFS 쿼터, 4) BitLocker
<해설> 폴더 리디렉션이란 폴더를 공유 폴더로 사용하게 하는 것이다. 폴더 리디렉션 정책을 사용하여 로컬 폴더를 네트워크에 올려본다. [해설작성자: 쏘니] 즉, 정답은 2번 폴더 리다이렉션(Folder Redirection) 이다.
41. 서버 담당자 Park 사원은 데이터를 안전하게 보호하는 일을 하기 위해 BitLocker 기능을 사용하고자 한다. BitLocker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메인보드와 BIOS에서 지원해야 하는 기능은 무엇인가?
1) FSRM, 2) NTLM, 3) TPM, 4) Heartbeat
<해설> TPM(Trusted Platform Module): 메인 보드에 설치 가능한 하드웨어 모듈로, 암호화 보안 장치이다. [해설작성자: 김선민] 즉, 정답은 3번 TPM이다.
42. 서버 관리자 Park 사원은 Windows Server 2016의 Active Directory에서 도메인 사용자 계정을 관리하기 위해 도메인 사용자 계정을 생성/수정/삭제 하려고 한다. 다음 중 도메인 사용자 계정을 관리하기 위한 명령어가 아닌 것은?
1) dsadd, 2) dsmod, 3) dsrm, 4) net user
<해설> net user 계정정보 출력 [해설작성자: 네관사 비싸요], 1번은 생성, 2번은 수정, 3번은 삭제, 4번만 문제와 상관없는 명령어이다. [해설작성자: 뿌까] 즉, 정답은 4번 net user 이다.
43. 서버 담당자 Park 사원은 Windows Server 2016를 구축하여 사용자 계정 관리를 하고자 한다. 이때 Windows Server 2016에서 자동으로 생성되는 그룹 계정중에서 성능카운터, 로그 등을 관리하는 권한을 가진 그룹으로 알맞은 것은?
1) Backup Operators, 2) Performance Log Users, 3) Power Users, 4) Replicator
<해설> Backup Operators: 도메인의 모든 도메인 컨트롤러에 대해 백업 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권리를 가짐. Performance Log Users: 서버 및 원격 클라이언트에서 로컬로 성능 카운터, 로그 및 알림을 관리할 수 있음. Power Users: 로컬 사용자 계정 resource 를 공유하거나 수정 가능한 그룹, Administarators 낮지만, 일반 계정보다 높음. 대부분의 관리 권한을 보유하고 있지만 제한적. Replicator: 그룹의 구성원인 컴퓨터는 도메인에서 파일 복제를 지원 [해설작성자: 막나?아닌가?] 즉, 정답은 2번 Performance Log Useres 이다.
44. 서버 담당자 Park 사원은 Windows Server 2016에서 데이터 손실없이 여러 사이트 간에 동기 복제를 제공하며, 장애가 발생하기 전에 백업 데이터로 연결을 넘길 수 있도록 서버를 구성하고자 한다. 이에 적절한 서비스는?
1) 저장소 복제, 2) DirectAccess Server, 3) 클라우드 폴더, 4) NanoServer
<해설> 여러 사이트간에 동기 복제라고 하니까 저장소를 복제해두면, 오류가 나도 복제된 저장소가 있으니까 답은 저장소 복제이다. [해설작성자: 전현준 아임현준] 즉, 정답은 1번 저장소 복제 이다.
45. Linux 시스템에 있는 부트 로더로서 Linux 뿐만 아니라 다른 운영체제와의 멀티부팅 기능도 지원해주는 것은?
1) CMOS, 2) BASH, 3) GRUB, 4) ROOT
<해설> GRUB는 GROUP이라고 생각하면 된다. 그러므로 멀티부팅이니까 모임이란 뜻을 까진 GROUP FRUB이 답이다. [해설작성자: 도ㅡㅡㅡㅡ맨], 멀티캐스팅 해주는 IGMP처럼 GRUB는 멀티부팅을 한다. 멀티가 나오면 G가 있는지 잘 살펴보자. [해설작성자: 태일이가 침뱉으면? 알파카가 아닌 칵테일] 즉, 정답은 3번 GRUB 이다.
4과목: 네트워크 운용기기
46. 현재 LAN 카드의 MAC Address는 몇 비트의 번호체계인가?
1) 32비트, 2) 48비트, 3) 64비트, 4) 128비트
<해설> 가장 일반적으로 MAC 주소를 표기할때 00-00-00-00-00-00 으로써 48비트(6옥텟)로 표기한다. 총 48비트중 앞에 24비트(3옥텟)은 장비 제조사의 일련번호가 뒤의 24비트(3옥텟)은 장비의 시리얼번호가 부여되어 각각 장비에 고유하게 부여되고 있다. [해설작성자: Gatton] 즉, 정답은 2번 48비트이다.
49. 내부 통신에는 사설 IP 주소를 사용하고 외부와의 통신에는 공인 IP 주소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은?
1) ARP, 2) NAT, 3) ICMP, 4) DHCP
<해설> 내부 통신에는 사설 IP 주소를 사용하고 외부와의 통신에는 공인 IP 주소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해주는 것. 사설 IP 주소를 공인 IP 주소로 바꿔주는 주소 변환기 이다. 공인 IP를 절약하기 위해 사용하며 인터넷의 공인 IP는 한정되어 있어서 NAT를 이용하면 사설 IP를 사용 가능하기 때문에 공인 IP와 상호 변환이 되게끔 하여 공인 IP를 다수가 함께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해설작성자: 네트워크관리사딸려고함] 즉, 정답은 2번 NAT이다.
50. 링크 상태 라우팅(Link State Routing)의 설명으로 옳지 않은것은?
1) 각 라우터는 인터네트워크 상의 모든 라우터와 자신의 이웃에 대한 지식을 공유한다. 2) 각 라우터는 정확히 같은 링크 상태 데이터베이스를 갖는다. 3) 최던 경로 트리와 라우팅 테이블은 각 라우터마다 다르다. 4) 각 라우터 간 경로의 경비는 홉 수로 계산한다.
<해설> 링크 상태 방식은 hop count를 사용하지 않는다. [해설작성자: BlueHawk] 즉, 정답은 4번 각 라우터 간 경로의 경비는 홉 수로 계산한다가 옳지 않다.
'책으로 공부하기 > 자격증' 카테고리의 다른 글
[네트워크관리사2급] 2021년 8월 29일 기출문제 풀이 Feat. 세번째 문제풀이, 48점 (0) | 2022.10.19 |
---|---|
[네트워크관리사2급] 2020년 8월 23일 기출 문제 풀이 Feat. 첫번째 문제풀이, 48점 (0) | 2022.10.18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