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책으로 공부하기/자격증

[네트워크관리사2급] 2020년 8월 23일 기출 문제 풀이 Feat. 첫번째 문제풀이, 48점

by 개발자 슈니 2022. 10. 18.
728x90
반응형

정기 2022-04 네트워크관리사 2급 시험이 2022년 11월 6일 일요일 오전 9시 20분으로 예정되었다.

 

네트워크관리사2급 필기시험 준비는 무작정 기출문제 풀어보기로 하고 있다. 오늘 풀어본 문제는 2020년 8월 23일에 기출된 문제로 총 50문제. 해설은 보지 않고 풀었고 모르는 문제는 찍었다. 그 결과 48점^^ 계속 반복해서 여러 문제들을 풀다보면 점수가 늘겠지! 앞으로 시험까지 한달도 안남았으니 하루에 기출문제 하나씩은 풀도록 분발해야겠다.

해설은 보지 않고 풀었고 푼 뒤에 확인 하였다.

네트워크관리사 필기시험 뿐만 아니라 그 외의 시험들은 아래 전자문제집 CBT링크를 통해 확인해볼 수 있다.

http://www.comcbt.com

 

최강 자격증 기출문제 전자문제집 CBT

전자문제집, CBT, 컴씨비티, 씨비티, 기사, 산업기사, 기능사, 컴활, 컴퓨터활용능력, 1급, 2급, 워드, 정보처리, 전기, 소방, 기계, 사무자동화, 정보기기, 제과, 제빵, 한국사, 공무원, 수능, 필기,

www.comcbt.com

본 해설집은 최강 자격증 기출문제 전자문제집 CBT 해설달기 프로젝트에 의해서 만들어진 자료이며 해설을 제공해 주신 모든 분들께 감사드린다. 다만, 한가지 내 의견을 표하자면... 해설이 좀 부족한 부분이 많이 있다!

 

아래서부터는 내가 푼 문제중 틀린 문제들을 한번 더 검토해보려는 취지에서 적어보았다.

 

1과목: TCP/IP

1. 다음 중 Ping 유틸리티와 관련이 없는 것은? 

1) ICMP 메시지를 이용한다. 2) Echo Request 메시지를 보내고 해당 컴퓨터로부터 ICMP Echo Reply 메시지를 기다린다. 3) TCP/IP 구성 파라미터를 확인할 수 있다. 4) TCP/IP 연결성을 테스트 할 수 있다. 

<해설> ping는 ICMP 메시지를 사용한다. ping는 인터넷이나 네트워크가 안될 때, 네트워크에 있는 호스트들의 상태를 점검할 때 사용하는 응용프로그램이다. ICMP는 전송상의 에러를 확인할 수는 있지만 정정할 수는 없다. [해설작성자: 칼들은처키]  즉, 정답은 3번, TCP/IP 구성 파라미터를 확인 할 수 있다가 관련이 없다.

 

6. IPv6 헤더 형식에서 네트워크 내에서 혼잡 상황이 발생되어 데이터그램을 버려야 하는 경우 참조되는 필드는?

1) Version, 2) Priority, 3) Next Header, 4) Hop Limit

<해설> HOP Limit는 8비트 데이터그램 생존기간을 의미하며, 혼잡이 발생할때 Traffic Class필드(Priority) 데이터그램을 버린다. [해설작성자: 칼들은처키] 즉, 정답은 2번, Priority 이다.

 

 

2과목: 네트워크 일반

18. 패킷교환의 특징에 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1) 패킷과 함께 오류제어를 함으로서 고품질/고신뢰성 통신이 가능하다. 2) 패킷을 전송 시에만 전송로를 사용하므로 설비 이용 효율이 높다. 3) 패킷 교환의 방식으로는 연결형인 가상회선방식과 비연결형인 데이터그램(Datagram) 두 가지가 있다. 4) 복수의 상대방과는 통신이 불가능하다.

<해설> 패킷이란 일정한 크기로 분할된 데이터와 제어 정보를 포함하는 데이터 블록을 의미한다(특징은 위에 내용처럼 외우세요) [해설작성자: 칼들은처키] 즉, 정답은 4번, 복수의 상대방과는 통신이 불가능하다가 옳지 않다.

 

23. 다음에서 설명하는 전송매체는?

- 중심부에는 굴절률이 높은 유리, 바깥 부분은 굴절률이 낮은 유리를 사용하여 중심부 유리를 통과하는 빛이 전반사가 일어나는 원리를 이용한 것으로, 에너지 손실이 매우 적어 송수신하는 데이터의 손실률도 낮고 외부의 영향을 거의 받지 않는 장점이 있다.

1) Coaxial Cable, 2) Twisted Pair, 3) Thin Cable, 4) Optical Fiber

<해설> 광 통신은 전기 신호를 사용하는 것이 아니라 빛을 이용하여 신호를 보내기 때문에 전자기파에 대한 간섭이 없다. 대용량 전송, 광대역, 비전도성으로 인한 저손실, 경량 등의 특징을 가지고 있다. [해설작성자: 칼들은처키] 즉, 정답은 4번, Oprical Fiber 이다.

 

24. 아래 내용에서 IPv6의 일반적인 특징만을 나열한 것은?

A. 주소의 길이가 128비트이다.
B. 4개의 클래스로 구분된다.
C. IPv4에 비하여 헤더가 단순하다.
D. IPv4에 비하여 인증 및 보안기능이 강화되었다.
E. 패킷 전송 시 멀티캐스트를 사용한다.
F. 패킷 전송 시 브로드캐스트를 사용한다.

1) A, B, C, D, 2) A, C, D, E, 3) B, C, D, E, 4) B, D, E, F

<해설> IPv6의 특징은 128비트로 구성되며 멀티캐스트, 유니캐스트, 애니캐스트를 사용한다. IPv4에 비해 헤더가 단순하고 IP주소 확장 및 인증 및 보안기능이 IPv4에 비해 우수하다. [해설작성자: 칼들은처키] 즉, 정답은 2번 A, C, D, E 이다.

 

25. 다음 내용 중 (A)에 들어갈 내용은?

- 네트워크를 관리하는 Kim 사원은 늘어나는 Server 관리 업무에 스트레스를 많이 받고 있다. 이번에도 서버가 대량으로 추가되어 서버실에 놓을 공간도 모자랄 뿐만아니라 전기용량 문제로 시설과와 협의중이나 어려움이 예상되고 있다. 또한 서버들에게서 발생하는 발열문제로 24시간 냉각장치 및 항온항습으로 인한 발생비용 또한 회사에서 줄여보라고 지시가 내려왔다. 그래서 Kim 사원은 비용도 많이 발생하며 외주의 필요성이 있는 등 여러 가지 고민 끝에 (A)를 이용하여 전용회선 및 안정적인 전력공급을 받기로 하였다.

1) IDC(Internet Data Center), 2) IPS(Intrusion Prevention System), 3) IDS(Intrusion Detection System), 4) IOS(International Organization for Standardization)

<해설> IDC는 인터넷 데이터 센터(Internet Data Center)의 준말로, 인터넷 연결의 핵심이 되는 서버(Server)를 한데 모아 집중 시킬 필요가 있을 때 설립하는 시설을 말한다. [해설작성자: 칼들은처키] 즉, 정답은 1번 IDC(Internet Data Center) 이다.

 

26. 다음은 몇세대 이동 통신인가?

- 차세대 All-IP 기반 서비스
- 저속 환경에서 고속으로 진화
- LTE Advanced의 경우 최대 1Gbps, 시속 60km 이상 이동 시에도 최대 100Mbps의 속도로 데이터 전송
- 3FPP 계열: LTE-Advanced
- Wi-Max 계열: IEEE 802.16m

1) 5세대 이동통신, 2) 2세대 이동 통신, 3) 3세대 이동통신, 4) 4세대 이동통신

<해설> 4세대 이동 통신은 2G, 3G 계열의 뒤를 잇는 무선 이동 통신 표준의 네번째 세대를 의미한다. 4G 는 정의상으로는 정지중에 1Gbps, 이동중에는 100Mbps 속도를 낼 수 있는 기술을 말한다. 일반적으로 3G에 비해 12배가 빠른 전송 속도를 가지고 있다. [해설작성자: 칼들은처키] 즉, 정답은 4번 4세대 이동통신 이다.

 

27. OSI 7 Layer 중 네트워크 계층(Network Layer)에 속하는 장치는?

1) Router, 2) Bridge, 3) Repeater, 4) LAN Card

<해설> Router는 네트워크 계층, Bridge는 데이터링크 계층, Repeater는 물리계층이다.[해설작성자: 칼들은처키], LAN Card도 물리계층 [해설작성자: 설찌] 즉, 정답은 1번 Router 이다.

 

 

3과목: NOS

28. Linux에서 사용자에 대한 패스워드의 만료기간 및 시간 정보를 변경하는 명령어는?

1) chage, 2) chgrp, 3) chmod, 4) usermod

<해설> chage는 계정의 비밀번호를 관리하는 명령어이다. chgrp는 파일의 소유자 그룹을 변경할 때 사용하는 명령어이다. chmod는 파일의 허가권을 숫자로 변경하고자 할 때 사용된다. usermod는 사용자 계정을 변경할 때 사용된다. [해설작성자: 칼들은처키] 즉, 정답은 1번 chage 이다.

 

29. Linux 디렉터리 구성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tmp - 임시파일이 저장되는 디렉터리, 2) /boot - 시스템이 부팅 될 때 부팅 가능한 커널 이미지 파일을 담고 있는 디렉터리, 3) /var -  시스템의 로그 파일과 메일이 저장되는 위치, 4) /usr - 사용자 계정이 위치하는 파티션 위치

<해설> /usr은 시스템, 응용프로그램에서 필요한 파일들이 저장되어 있는 디렉터리를 말한다. [해설작성자: 칼들은처키] 즉, 정답은 4번 /usr - 사용자 계정이 위치하는 파티션 위치가 옳지 않다.

 

30. 컴퓨터가 부팅될 수 있도록 Linux 운영체제의 핵이 되는 커널을 주 기억 장소로 상주시키는데 사용되는 부트 로더는?

1) GRUB, 2) MBR, 3) CMOS, 4) SWAP

<해설> GRUB는 컴퓨터가 시작될 때에 처음 실행되는 프로그램으로 운영체제를 불러오는 역할을 한다. 리눅스 로더를 의미한다. [해설작성자: 칼들은처키], GRUB는 GNU에서 만든 부트로더, MBR은 하드디스크의 첫번째 파티션을 생성할 때 만들어짐, CMOS는 CMOS, SWAP은 메모리의 여유 공간을 디스크에 확보. [해설작성자: 추가내용] 즉, 정답은 1번 GRUB 이다.

 

31. Linux 시스템에서 특정 파일의 권한이 '-rwxr-x--x'이다. 이 파일에 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1) 소유자는 읽기 권한, 쓰기 권한, 실행 권한을 갖는다. 2) 소유자와 같은 그룹을 제외한 다른 모든 사용자는 실행 권한만을 갖는다. 3) 이 파일의 모드는 '751'이다. 4) 동일한 그룹에 속한 사용자는 실행 권한만을 갖는다.

<해설> -rwxr-x--x를 풀어보면 일단 맨 앞에 (-)는 파일을 뜻한다. 또한 (ㄱㅈㅌ) 맨 앞의 3자리는 파일의 소유자 자리이다. 소유자 자리에 rwx가 의히하는 것은 읽고, 쓰고, 실행할 수 있따는 의미이다. (r-읽다, w-쓰다, x- 실행) 그 다음 (r-x)는 소유자가 속한 그룹을 뜻한다. r-x가 의미하는 것은 w 권한이 제외된 읽기 실행만이 가능하다는 의미이다. -x 마지막 자리는 기타 사용자를 의미한다. x기 때문에 기타 사용자는 실행 권한만이 있다는 의미이다. 마지막으로 위의 -rwxr-x--x는 수치로 계산하게 된다면 r(4)w(2)x(1)로써 맨 앞의 r(4) + w(2) + x(1) = 7 또한 rx는 r(4) + x(1) = 5, 그리고 마지막 x는 그냥 1이기 때문에 이 파일 모드는 751 이다. [해설작성자: 칼들은처키] 즉, 정답은 4번 동일한 그룹에 속한 사용자는 실행 권한만을 갖는다가 옳지 않다.

 

32. Linux에서 프로세스와 관련된 명령어에 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1) kill - 프로세스를 종료시키는 명령어, 2) nice - 프로세스의 우선 순위를 변경하는 명령어, 3) pstree - 프로세스를 트리형태로 보여주는 명령어, 4) top - 가장 우선순위가 높은 프로세스를 보여주는 명령어

<해설> top는 실시간으로 프로세스를 모니터링 할 수 있는 명령어이다. [해설작성자: 칼들은처키] 즉, 정답은 4번 top - 가장 우선순위가 높은 프로세스를 보여주는 명령어가 옳지 않다.

 

35. Linux에서 서버를 종료하기 위해 'shutdown - h + 30'을 입력하였으나 갑자기 어떤 작업을 추가로 하게 되어 앞서 내렸던 명령을 취소하려고 한다. 이때 필요한 명령어는?

1) shutdown -c, 2) shutdown -v, 3) shutdown -x, 4) shutdown -z

<해설> shutdown은 서버를 종료하는 명령어이다. (shutdown - h +30)은 30분 후에 컴퓨터를 종료하라는 의미이다. 이 명령을 취소하려면 Ctrl + C 또는 Shutdown -c이다. [해설작성자: 칼들은처키] 즉, 정답은 1번 shutdown -c 이다.

 

36. Linox에서 DNS의 SOA(Start Of Authority) 레코드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Zone 파일은 항상 SOA로 시작한다. 2) 해당 Zone에 대한 네임서버를 유지하기 위한 기본적인 자료가 된다. 3) Refresh는 주 서버와 보조 서버의 동기 주기를 설정한다. 4) TTL 값이 길면 DNS의 부하가 늘어난다.

<해설> SOA레코드는 해당 도메인에 대해서 네임서버가 인증된 데이터를 가지고 있음을 의미하여 해당 도메인에 대해 네임서버가 최적의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Minimu, TTL으로 다른 네임서버가 자신의 Zone에 기술된 자료를 가지고 있을 경우 그 자료에 대한 유효기간을 설정한다. [해설작성자: 칼들은처키] 즉, 정답은 4번 TTL 값이 길면 DNS의 부하가 늘어난다가 옳지 않다.

 

37. Windows Server 2016의 DNS 서버에서 정방향/역방향 조회 영역(Public/Inverse Domain Zone)에 대한 설명으로 올바른 것은?

1) 정방향 조회 영역은 도메인 주소를 IP 주소로 변환하는 영역이다. 2) 정방향 조회 영역에서 이름은 'x.x.x.in-addr.arpa'의 형식으로 구성되는데, 'x.x.x'는 IP 주소 범위이다. 3) 역방향 조회 영역은 도메인 주소를 IP 주소로 변환하는 영역이다. 4) 역방향 조회 영역은 외부 질의에 대해 어떤 IP 주소를 응답할 것인가를 설정한다.

<해설> 정방향 조회는 호스트 이름을 IP 주소로 해석하는데 사용된다. 반대로 역방향 조회는 IP 주소를 호스트 이름으로 해석하는데 사용된다. [해설작성자: 칼들은처키] 즉, 정답은 1번 정방향 조회 영역은 도메인 주소를 IP 주소로 변환하는 영역이다가 올바르다.

 

38. Windows Server 2016에 설치된 DNS에서 지원하는 레코드 형식 중 실제 도메인 이름과 연결되는 가상 도메인 이름의 레코드 형식은?

1) CNAME, 2) MX, 3) A, 4) PTR

<해설> CNAME는 이미 지정된 이름에 대한 별칭 도메인 추가 시 사용한다. MX는 지정된 DNS 이름의 메일 교환 호스트에 메일 라우팅을 제공한다. A는 DNS 이름과 호스트의 IP 주소를 연결한다. PTR은 DNS 서버에서 사용하는 리소스 중 도메인에 있는 특정 주소에 DNS 이름을 공급하는 매핑을 제공한다. [해설작성자: 칼들은처키] 즉, 정답은 1번 CNAME 이다.

 

40. 서버 담당자 Park 사원은 Windows Server 2016에서 성능 모니터를 운영하여 서버의 성능을 분석하고자 한다. 다음 중 성능 모니터로 미리 정의한 일정한 주기로 특정 데이터를 수집하고자 성능 모니터 도구를 시작하기 위한 명령어로 올바른 것은?

1) perfmon, 2) msconfig, 3) dfrg, 4) secpol

<해설> 윈도우에서 성능 모니터를 시작하려면 (단축키: 윈도우 + R) 실행창 열고 perfmon /report입력 후 확인을 누르면 성능 모니터가 실행된다. [해설작성자: 칼들은처키] 즉, 정답은 1번 perfmon 이다.

 

49. OSI 7계층 중 물리 계층에서만 사용하는 장비로써 근거리 통신망(LAN)의 전송매체상에 흐르는 신호를 정형, 증폭, 중계하는 것은 무엇인가?

1) Router, 2) Repeater, 3) Bridge, 4) Gateway

<해설> Router은 네트워크 계층, Repeater은 물리계층, Bridge는 데이터링크 계층, Gateway는 전송계층 [해설작성자: 칼들은처키] 즉, 정답은 2번 Repeater 이다.

728x90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