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책으로 공부하기/자격증

[네트워크관리사2급] 2021년 8월 29일 기출문제 풀이 Feat. 세번째 문제풀이, 48점

by 개발자 슈니 2022. 10. 19.
728x90
반응형

세번째 문제풀이 인데, 점수가 늘지 않는다. 그래도 포기하지 않고 노력해보자!

사실 문제를 풀어보고 틀린문제 해설을 오답노트 적으며 느낀 건데 10번은 반복해서 풀어봐야 외워질것같다ㅠㅠ

 

 

1과목: TCP/IP

2. TCP/IP Protocol 군에서 네트워크 계층의 프로토콜로만 연결된 것은?

1) TCP - UDP - IP, 2) ICMP - IP - IGMP, 3) FTP - SMTP - Telnet, 4) ARP - RARP - TCP

<해설> 물리계층: 없음(랜선, 허브, 리피터등의 디바이스만 존재), 데이터 링크 계층: Ethernet, Token Ring, FDDI, MAC(물리적 주소), SLIP, PPP, 네트워크 계층: IP, ICMP, ARP, RARP, IGMP, IPX, 전송 계층: TCP, UDP, 세션 계층: NetBIOS, SAP, SDP, NWLink, 표현 계층: BCD코드(가장 기본의 단위, 6비트), EBCDIC코드(8비트), ASII코드(BCD코드의 확장형, 7비트), 유니코드(2바이트 코드, 전세계 나라의 언어를 표현), MPEG, JPRG, MIDI, GIF, 응용 계층: HTTP, SMTP, Telnet, DNS, DHCP 이다. [해설작성자: 빅데이터 분석가가 꿈인 22학번] 즉, 정답은 2번 ICMP - IP - IGMP 이다.

 

3. IP Address 중 Class가 다른 주소는?

1) 191.234.149.32, 2) 198.236.115.33, 3) 222.236.138.34, 4) 195.236.126.35

<해설> A클래스는 0~127(루프백), B클래스는 128~191, C클래스는 192~223, D클래스는 224~239 (멀티용), E클래스는 240~255(연구용) [해설작성자: KOREA IT 짱짱맨 Moran Family] 즉, 정답은 1번 191.234.149.32 이다.

 

5. IP 헤더에 포함이 되지 않는 필드는?

1) ACK, 2) Version, 3) Header checksum, 4) Header length

<해설> IP Header 구조로는 Version(4bit), Header Length(4bit), Type-of-Service Flags(T.O.S), Total Packet Length(16bit), Fragment identifier(8bit), Fragmentation Flags(3bit), Fragmentation Offset(13bit), Time-to-live(8bit), Protocol Identifier(8bit), Header Checksum(16bit), Source IP Address(32bit), Destiantion IP Address(32bit), Options(가변적) [해설작성자: 맞] 즉, 정답은 1번 ACK 이다.

 

7. TFTP 프로토콜에 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1) Trivial File Transfer Protocol의 약어이다. 2) 네트워크를 통한 파일 전송 서비스이다. 3) 3방향 핸드셰이킹 방법인 TCP 세션을 통해 전송한다. 4) 신속한 파일의 전송을 원할 경우에는 FTP보다 훨씬 큰 효과를 얻을 수 있다.

<해설> FTP는 TCP기반, TFTP는 UDP기반. 포트 69번 사용 [해설작성자: 잉잉] 즉, 정답은 3번 3방향 핸드셰이킹 방법인 TCP 세션을 통해 전송한다가 옳지 않다.

 

8. SNMP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TCP를 이용하여 신뢰성 있는 통신을 한다. 2) 네트워크 관리를 위한 표준 프로토콜이다. 3) 응용 계층 프로토콜이다. 4) RFC 1157에 규정되어 있다.

<해설>TFTP는 TCP를 이용하여 신뢰성 있는 통신을 한다(SNMP랑 관련없음). [해설작성자: 빅데이터 분석가가 꿈인 22학번], SNMP는 UDP 161,162의 포트번호를 사용한다. [해설작성자: comcbt.com 이용자], FTP는 TCP 20,21 포트를 이용하지만 TFTP는 UDP 69번 포트를 이용한다. [해설작성자: 시험기간] 즉, 정답은 1번 TCP를 이용하여 신뢰성 있는 통신을 한다가 옳지 않다.

 

11. ICMP 메시지의 타입번호와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타입 0: Echo Request (에코 요청), 2) 타입 3: Destination Unreachable (목적지 도달 불가), 3) 타입 5: Redirect (경로 재지정), 4) 타입 11: Time Exceeded (시간 초과)

<해설> 타입 0: Echo Reply (에코 응답), 타입 8: Echo Request (에코 요청) [해설작성자: 빅데이터 분석가가 꿈인 22학번] 즉, 정답은 1번 타입0: Echo Request (에코요청)가 옳지 않다.

 

13. 다음 보기 중에 RIP Routing Protocol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디스턴스 벡터(Distance Vector) 라우팅 프로토콜이다. 2) 메트릭은 Hop Count를 사용한다. 3) 표준 프로토콜이기 때문에 대부분의 라우터가 지원한다. 4) RIPv1, RIPv2 모두 멀티캐스트를 이용하여 광고한다.

<해설> 라우팅 정보 프로토콜(RIP)은 RIP에서 사용하는 메트릭은 Hop Count를 사용한다. 인터넷 표준 프로토콜로 모든 벤더에서 지원한다. 간단하며 구현 운영이 편하다. 가장 오래된 거리 벡터(Distance Vector)이다. 라우팅에 참여하지 않는 호스트의 불필요한 로드 방지를 위해 RIPv2는 전체 라우팅 테이블을 브로드캐스트를 사용하는 RIPv1과 달리 주소 224.0.0.9의 모든 인접 라우터에 멀티캐스트이다. [해설작성자: 맞나?아닌가?] 즉, 정답은 4번 RIPv1, RIPv2 모두 멀티캐스트를 이용하여 광고한다가 옳지 않다.

 

16. CSMA/CD의 특징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충돌 도메인이 작을수록 좋다. 2) 충돌이 발생하면 임의의 시간 동안 대기하므로 지연 시간을 예측하기 어렵다. 3) 네트워크상의 컴퓨터들이 데이터 전송을 개시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토큰'이라는 권한을 가지고 있어야 한다. 4) 컴퓨터들은 케이블의 데이터 흐름 유무를 감시하기 위해 특정 신호를 주기적으로 보낸다.

<해설> CSMA/CD 특징으로는 통신을 하고 싶은 PC나 서버는 먼저 네트워크 상에 통신이 일어나는지 확인을 한다. (캐리어 검사) < Carrier Sense 데이터를 보내고자 하는 송신자 'A'는 수신자 'B'가 이미 다른 송신자 'C'와 통신 중임을 감지하면 즉시 통신을 중단하고 정체 신호(Jam Signal)을 보낸다. 그리고 임의의 시간 동안 대기하면서 재전송할 준비를 한다. 일단, 정체 신호가 발생하면 송신자 'A'뿐만 아니라 수신자 'B'로 데이터를 보내고자 하는 네트워크 상의 모든 노드들에게 전달된다. 주요 절차로 1) 전송을 위한 프레임을 준비한다. 2) 매체가 사용이 가능한가? 만일 아니라면, 대기한다. 3) 전송을 시작한다. 4) 충돌이 일어났는지 확인하고 만일 그렇다면, 충돌 탐지 절차로 이동한다. 5) 재전송 계수기를 초기화 하고 프레임 전송을 종료한다.이고, 충돌 탐지 시 절차로는 1) 정체 신호가 전체 송신자에게 전달되도록 하기 위해 최소 패킷 전송시간까지 전송을 계속한다. 2) 재전송 계수기의 재전송 시도횟수를 증가시킨다. 3) 임의의 시간동안 대기한다. 4) 첫 번째 단계부터 반복한다. [해설작성자: 맞나?아닌가?] 즉, 정답은 3번 네트워크상의 컴퓨터들이 데이터 전송을 개시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토큰'이라는 권한을 가지고 있어야 한다.

 

17. RARP(Reverse Address Resolution Protocol)에 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1) IP Address를 하드웨어 주소로 변환하기 위해서 사용한다. 2) RFC 903에 명시되어 있고, RFC 951에 기술된 BOOTP에 의해 대체되고 있다. 3) 디스크를 소유하지 않으면 RARP를 이용하여 인터넷 주소를 먼저 알아내야 한다. 4) Ethernet, FDDI, Token Ring 등의 근거리 통신망에서 사용할 수 있는 프로토콜이다.

<해설> ARP: IP -> MAC, RARP: MAC -> IP [해설작성자: KOREA IT 짱짱맨 Moran Family] 즉, 정답은 1번 IP Address를 하드웨어 주소로 변환하기 위해서 사용한다가 옳지 않다.

 

 

2과목: 네트워크 일반

19. 프로토콜의 기본적인 기능 중 정보의 신뢰성을 부여하는 것으로, 데이터를 전송한 개체가 보낸 PDU(Protocol Data Unit)에 대한 애크널러지먼트(ACK)를 특정시간 동안 받지 못하면 재전송하는 기능은?

1) Flow Control, 2) Error Control, 3) Sequence Control, 4) Connection Control

<해설> PDU는 프로토콜 데이터 단위이다. Data링크와 전송제어 신뢰성 있는 전송을 위해 흐름제어(Flow Control), 오류제어(Error Control), 회선제어(Line Control)을 수행한다. 흐름제어(Flow Control)은 얼마나 많은 데이터를 보낼 수 있는 지(전송량 제어)고 오류제어(Error Control)은 데이터를 보낼 때 누가 보낼 수 있는지를 결정(충돌방지)한다. [해설작성자: 맞나?아닐수도] 즉, 정답은 2번은 Error Control 이다.

 

21. OSI 7 Layer에서 Data Link 계층의 기능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전송 오류 제어기능, 2) Flow 제어 기능, 3) Text의 압축, 암호기능, 4) Link의 관리 기능

<해설> 물리적인 연결을 통하여 인접한 두 장치 간의 신뢰성 있는 정보 전송을 담당(Point-To-Point 전송). 안전한 정보의 전달 오류나 재전송하는 기능이 존재. MAC 주소를 통해서 통신. 데이터 링크 계층에서 데이터 단위는 프레임(Frame), 장비로는 브리지, 스위치가 있음. 압축, 암호, 복호화 기능 -> 표현 계층(Presentation Layer) [해설작성자: 맞나? 해설은처음이라] 즉, 정답은 3번 Text의 압축, 암호화기능이 옳지 않다.

 

22. Bus 토폴로지(Topology)에 대한 설명으로 올바른 것은?

1) 스타 토폴로지보다 네트워크를 구축하는데 더 많은 케이블이 필요하기 때문에, 배선에 더 많은 비용이 소요된다. 2) 각 스테이션이 중앙 스위치에 연결된다. 3) 터미네이터(Terminator)가 시그널의 반사를 방지하기 위하여 사용된다. 4) 토큰이라는 비트의 패턴이 원형을 이루며 한 컴퓨터에서 다른 컴퓨터로 순차적으로 전달된다.

<해설> Bus 토폴로지는 장비들을 하나의 회선을 통해 공유하며 간단하고 신뢰도 높다. 속도가 빠르고 장비추가도 간단하며 하나의 장비 고장이 전체 네트워크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터미네이터를 두어 시그널 반사를 방지한다. 단점은 케이블고장시 전부 문제가 생긴다. [해설작성자: 맞나? 몰라용?] 즉, 정답은 3번 터미네이터(Terminator)가 시그널의 반사를 방지하기 위하여 사용된다 이다.

 

24. 펄스 부호 변조(PCM)의 3단계 과정을 순서대로 올바르게 나열한 것은?

1) 부호화 -> 양자화 -> 표본화 2) 양자화 -> 표본화 -> 부호화 3) 부호화 -> 표본화 -> 양자화 4) 표본화 -> 양자화 -> 부호화

<해설> 변환 과정은 표본화 > 압축 > 양자화 > 부호화 이다. 즉, 정답은 4번 표본화 > 양자화 > 부호화 이다.

 

27. 다음 설명은 홈네트워크를 구축하기 위해서 사용되는 기술이다. (A), (B), (C)에 들어갈 적합한 용어를 순서대로 나열한 것은 무엇인가?

- (A)은/는 통신설비를 추가로 설치할 필요 없이 기존에 있는 전화선을 이용하여 통신망을 구축하는 기술이다. 한 쌍의 전화선을 이용하여 음성과 데이터를 분리하여 동시 사용 가능하며, 음성 전화를 위한 별도의 장치가 필요 없다. (A) 1.0은 최대 1Mbps의 속도를 제공하며, (A) 2.0은 최대 10Mbps의 속도를 제공한다.
- (B)의 기술은 기존의 전력선을 기반으로 추가적인 데이터 회선 없이 통신을 지원하는 기술이다. 이는 추가 통신선로의 필요성이 없으나, 전력선을 매체로 활용하다 보니 잡음에 민감하고, 통신속도도 상대적으로 느려서 현재는 거의 사용되지 않으며, 일부 원격 검침 등의 한정된 애플리케이션에서 사용된다.
- (C)은/는 현재 가장 널리 사용되는 기술로, IEEE802.11을 기반으로 한 데이터 통신 전용 네트워크 이다. 지원하는 단말 장치의 증가로 기존의 Home network에 사용되던 기술을 빠르게 대체하고 있다.

1) HomPNA - PLC(Power Line Communication) - WiFi/Wireless LAN, 2) Ethernet - ZigBee - WiFi/Wireless LAN, 3) HomPNA - PLC(Power Line Communication) - Bluetooth, 4) HomPNA - PLC(Power Line Communication) - ZigBee

<해설> 이더넷은 컴퓨터 네트워크 기술의 하나로, 일반적으로 LAN, MAN 및 WAN에서 가장 많이 활용되는 기술 규격이다. 지그비는 소형, 저전력 디지털 라디오를 이용해 개인 통신망을 구성하여 통신하기 위한 표술 기술이며 저전력임에도 불구하고 넓은 범위의 통신이 가능하다. 블루투스는 개인 근거리 무선 통신 산업 표준이다. [해설작성자: 맞나? 아항?] 즉, 정답은 1번 HomPNA - PLC(Power Line Communication) - WiFi/Wireless LAN 이다.

 

 

3과목: NOS

33. 다음 중 Linux의 기본 명령어와 용도가 올바른 것은?

1) nslookup: 현재 시스템에 접속한 사용자 정보와 프로세스 상태를 확인. 2) file: 해당 디렉터리를 삭제하고 새로 생성. 3) chown: 파일이나 디렉터리의 소유권을 변경. 4) ifconfig: 현재 모든 프로세서의 작동 상황을 실시간으로 확인

<해설> nslookup은 도메인 네임을 얻거나 IP주소 매핑 또는 다른 특정한 DNS 레코드를 도메인 네임 시스템에 질의할 떄 사용한다. file은 파일의 종류 확인 및 파일 속성 값을 확인할때 사용한다. chown은 파일이나 디렉터리의 소유권을 변경한다. ifconfig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구성을 확인 및 설정한다. [해설작성자: 맞나?아닌가?] 즉, 정답은 3번 chown: 파일이나 디렉터리의 소유권을 변경 이다.

 

35. TCP 3Way-HandShaking 과정 중 클라이언트가 보낸 연결 요청에서 패킷을 수신한 서버는 LISTEN 상태에서 무슨 상태로 변경되는가?

1) SYN_SENT 2) SYN_RECEIVED 3) ESTABLISHED 4) CLOSE

<해설> 수신했으니까 리시브. 배구로 치면 받아내다, 받다. [해설작성자: comcbt.com 이용자] 즉, 정답은 2번 SYN_RECEIVED 이다.

 

36. 서버 담당자 Park 사원은 Windows Server 2016에서 시스템을 감시하고자 이벤트 뷰어 서비스를 점검하려 한다. Windows Server 2016 이벤트 뷰어에는 시스템을 감시하는 4가지 항목의 Window 로그가 있다. 다음 중 이벤트 뷰어 Windows 로그에 속하지 않는 항목은?

1) 보안, 2) Setup, 3) 시스템, 4) 사용자 권한

<해설> Windows 로그에는 이벤트 항목이 있는데, [응용프로그램] 관련 이벤트를 저장하고, 로그온, 사용자 계정, 사용자 권한 등의 시스템 보안 관련 이벤트를 저장하는 [보안], 윈도우 설치 관련 이벤트를 저장하는 [Setup], 시스템 서비스와 장치 드라이버 같은 윈도우 구성 요소 관련 이벤트를 저장하는 [시스템]이 있다. [해설작성자: 맞나? 맞아라] 즉, 정답은 4번 사용자 권한이 속하지 않는다.

 

37. 서버 담당자 Park 사원은 Windows Server 2016에서 폴더에 저장할 수 있는 용량을 제한하고, 특정한 파일의 유형은 업로드 하지 못하도록 설정하고자 한다. 이러한 설정을 통해서 서버 담당자는 좀 더 유연하고 안전한 파일 서버를 구축할 수 있게 된다. 다음 중 서버 담당자가 구축해야 할 적절한 서비스는 무엇인가?

1) FSRM(Fime Server Resource Manager), 2) FTP(File Transfer Protocol), 3) DFS(Distribute File System), $) Apache Server

<해설> 파일 서버를 구축할 수 있게 된다. [File(파일) Server(서버) Resource(자원,재료) Manager(관리,매니저)] [해설작성자: 몰라요] 즉, 정답은 1번 FSRM(File Server Resource Manager) 이다.

 

39. Linux 시스템에서 'Is'라는 명령어 사용법을 알아보는 명령어로 올바른 것은?

1) cat Is 2) man Is, 3) Is man, 4) Is cat

<해설> man은 manual(메뉴얼=사용법) 명령어기 때문에 앞에 와야한다. [해설작성자: 몰라요] 즉, 정답은 2번 man Is 이다.

 

41. 네트워크 담당자 Kim 사원은 'www.icqa.or.kr'의 IP 주소를 이 파일에 저장하여 사이트 접속시 빠르게 실행하고자 한다. 각각의 컴퓨터에는 IP 주소와 그에 해당하는 컴퓨터 이름을 저장해 놓는 파일이 있다. 이 파일의 저장 경로와 파일명으로 올바른 것은?

1) C:\Windows\System32\hosts , 2) C:\Windows\System32\config\hosts , 3) C:\Windows\System32\drivers\hosts , 4) C:\Windows\System32\drivers\etc\hosts

<해설> 이건 암기 문제. 알아두면 두구두고 쓴다.[해설작성자: 맞나? 맞을껄?] 즉, 정답은 4번 C:\Windows\System32\drivers\etc\hosts

 

43. Linox의 VI편집기를 이용하여 파일의 내용을 수정할 때, 다음 내용을 만족하는 치환명령문은 무엇인가?

- 10행부터 20행까지 내용중 'old' 문자열을 'new' 문자열로 수정한다.
- 각 행에 'old' 문자열에 여러개가 있더라도 전부 수정한다.

1) :10,20s/old/new , 2) :10,20s/old/new/g , 3) :10,20r/old/new, 4) :10,20r/old/new/a

<해설> 문자열 치환은 범위 / 매칭문자 / 변결될 문자 / 행 범위 이다. [해설작성자: 맞나? 맞아용!] 즉, 정답은 2번 :10,20s/old/new/g 이다.

 

44. 'netstat' 명령어에 사용하는 옵션 설명에 대해 옳지 않은 것은?

1) -r : 라우팅 테이블을 표시한다. 2) -p : PID와 사용중인 프로그램명을 출력한다. 3) -t : 연결된 이후에 시간을 표시한다. 4) -y : 모든 연결에 대한 TCP 연결 템플릿을 표시한다.

<해설> netstat은 -a: 모든 열결 및 수신 대기 포트 표시, -c: 현재 실행 명령을 매 초마다 실행, -l: listen 포트 확인, -t: tcp로 연결된 포트 확인, -u: udp로 연결된 포트 확인, -n: 주소나 포트 형식을 숫자로 표현, -p: 해당 프로세스를 사용하고 있는 프로그램 이름 확인, -r: 라우팅 테이블 확인 이다. [해설작성자: KOREA IT 짱짱맨 Moran Family] 즉, 정답은 3번 -t: 연결된 이후에 시간을 표시한다가 옳지 않다.

 

 

4과목: 네트워크 운용기기

46. 사람의 머리카락 굵기만큼의 가는 유리 섬유로, 정보를 보내고 받는 속도가 가장 빠르고 넓은 대역폭을 갖는 것은?

1) Coaxial Cable, 2) Twisted Pair, 3) Thin Cable, 4) Optical Fiber

<해설> Optical Fiber은 광케이블이다. [해설작성자: 몰라여] 즉, 정답은 4번 Optical Fiber 이다.

 

47. 링크 상태 라우팅(Link State Routing)의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각 라우터는 인터네트워크 상의 모든 라우터와 자신의 이웃에 대한 지식을 공유한다. 2) 각 라우터는 정확히 같은 링크 상태 데이터베이스를 갖는다. 3) 최단 경로 트리와 라우팅 테이블은 각 라우터마다 다르다. 4) 각 라우터 간 경로의 경비는 홉 수로 계산한다.

<해설> 링크상태 라우팅은 정보를 모든 라우터에 전달, 최단 경로 트리(지도를 만듬)를 구성하는 라우팅 알고리즘이다. 거리 벡터 라우팅은 라우터는 모든 네트워크 세그먼트에 대한 전체 경로를 알 필요는 없다. 방햑(벡터)과 거리(홉 수)만 알면 된다. 즉 거리 벡터 라우팅은 최소한의 홉 수를 기반으로 계산하지만 링크 상태 라우팅은 비용기준이다. [해설작성자: 맞나? 응?] 즉, 정답은 4번 각 라우터 간 경로의 경비는 홉 수로 계산한다.

 

48. 게이트 웨이(Gateway)의 역할로 올바른 것은?

1) 전혀 다른 프로토콜을 채용한 네트워크 간의 인터페이스 이다. 2) 트위스트 페어 케이블 사용 시 이용되는 네트워크 케이블 집선 장치이다. 3) 케이블의 중계점에서 신호를 전기적으로 증폭한다. 4) 피지컬 어드레스의 캐시테이블을 갖는다.

<해설> 두 컴퓨터의 네트워크에서 프로토콜이 다른 네트워크 상의 컴퓨터와 통신하려면 두 프로토콜을 적절히 변환해 주는 변환기가 필요한데, 게이트웨이가 바로 이러한 변환기 역할을 한다. [해설작성자: 맞나? 맞지?] 즉, 정답은 1번 전혀 다른 프로토콜을 채용한 네트워크 간의 인터페이스 이다.

 

49. Repeater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전자기 또는 광학 전송 매체 상에서 신호를 수신하여 신호를 증폭한 후 다음 구간으로 재전송하는 장치를 말한다. 2) 전자기장 확산이나 케이블 손실로 인한 신호 감쇠를 보상해 주기 때문에 여러 대의 Repeater를 써서 먼 거리까지 데이터를 전달하는 것이 가능하다. 3) 근거리 통신망을 구성하는 세그먼트들을 확장하거나 서로 연결하는데 주로 사용한다. 4) 네트워크를 확장하면서 충돌 도메인을 나누어 줄 수 있는 장비가 필요한데 이럴 때 Repeater를 사용하여 충돌 도메인을 나누어 네트워크의 성능을 향상시킨다. 

<해설> 충돌 도메인을 나눠주는건 라우터의 설명이다. [해설작성자: 몰라요] 즉, 정답은 4번 네트워크를 확장하면서 충돌 도메인을 나누어 줄 수 있는 장비가 필요한데 이럴 떄 Repeater를 사용하여 충돌 도메인을 나누어 네트워크의 성능을 향상시킨다가 옳지 않다.

728x90
반응형

댓글